지속가능항공유 SAF
[지속가능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의 정의]
①화석연료로 만들지 않고,
②기존 항공유와 화학적으로 유사하며,
③항공기의 구조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친환경 연료
동·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대기중 포집된 탄소 등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친환경 연료로,
기존 항공유 탄소배출량의 평균 80%까지 저감 가능
(국제항공운송협회)
[주요국의 SAF 혼합의무화제도 도입 현황]
EU) ‘25년부터 SAF 혼합의무 시행 및 중장기 목표 제시
‘25년 2% → '30년 6% → '40년 34% → '50년 70%
노르웨이) 세계 최초 ’20년 0.5% 시행
프랑스) '22년 1%→ ‘23년 1.5% 시행
아시아) 싱가폴 ’26년 1% 및 인도 ‘27년 1% 검토 중,
일본 ’30년 10% 발표
<‘24년 SAF 급유 상용운항 참여예정 국적항공사>
대한항공, ‘24.8.30~) 인천→하네다, 주 1회 급유, SAF 1% 혼합
티웨이항공, ‘24.9.2~) 인천→구마모토, 주 1회 급유, SAF 1% 혼합
아시아나항공, ‘24.9.7~) 인천→하네다, 주 1회 급유, SAF 1% 혼합
이스타항공, ’24. 10월~) 인천→간사이, 주 1회 급유, SAF 1% 혼합
제주항공, ’24. 4분기) 인천→후쿠오카, 주 1회 급유, SAF 1% 혼합
진에어, ’24. 4분기) 인천→기타큐슈, 주 1회 급유, SAF 1% 혼합
금번 SAF 급유 상용운항을 계기로
ICAO 홈페이지(누리집)에
우리나라는 전 세계 20번째 SAF 급유 국가로 등재될 예정
8.30 SAF 상용운항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SAF 1% 사용시 연간 탄소배출 감축효과 예상>
23년 우리나라 국제항공 탄소배출량(약 2천만톤) 기준으로 산정시,
약 16만톤의 탄소배출 감축 효과
- 국내 승용차 5.3만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에 해당
(연 1.2만Km 주행 가정시)
ICAO의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
Carbon Offe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
‘19년도 국제항공 탄소배출량의 85% 수준 초과시
항공사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여 상쇄하는 제도
-우리나라를 포함한 126개국이 자발적 참여 중이며,
’27년부터 모든 회원국 의무이행
전기차 지하주차장 주차금지? (0) | 2024.09.10 |
---|---|
인천계양 수방사 공공분양 (3) | 2024.09.06 |
경부 지하고속도로 완도강진 고속도로 (0) | 2024.08.28 |
감염병 해외에서 한국으로 유입직전? (0) | 2024.08.18 |
포항 호미반도 해양보호구역 (1)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