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R&D 현황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바이오 R&D 현황

한국 살아남기

by 키위수박 2024. 5. 6. 03:42

본문

글로벌 바이오 시장은 ’21년 기준 약 2,500조원 규모
우리나라 3대 수출산업의 글로벌 시장규모 합과 유사한 규모
(’21년 기준 

반도체 $5,950억, 석유화학 $5,479억, 자동차 $1조790억 수준)

주요 국가들은 모두 바이오를 국가 전략분야로 지정하여 
기술역량 강화 및 글로벌 패권을 주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국 바이오 전략 동향>
미국) 
美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주도로 
바이오기술・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22)을 마련, 
OSTP・상무부・국방부가 공동의장을 맡는 ‘국가 바이오경제위원회’ 출범(’24)

유럽)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정책방안(’24) 발표, 
바이오기술법 제정, 바이오테크 허브 설립 등 추진.

영국) 
국가생물공학 비전 수립(‘23), 
건강・농업・재료・에너지 전반 바이오 응용 필요성 제시.

일본) 
5차 산업혁명 예측(‘21)으로 바이오기술 중심 산업 중장기 대책 마련

중국) 바이오경제 5개년 계획(‘22) 수립, 
바이오경제・산업을 국가전략분야로 격상


<합성생물학 6대 전략기술>
①DNA・RNA 디자인, ②단백질 설계, ③대사경로(유전자회로) 제어, 
④미생물 기반 화학소재, ⑤동물세포 기반 백신・치료제, 
⑥식물세포 기반 대체식품 및 그린바이오 소재

22년 기준, 
국내 정부 바이오 R&D투자는 5.2조원, 민간 R&D 투자는 6.5조원 수준.
바이오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우리 기술수준
>75.2%(’18)→77.9%(’20)→79.4%(’22)

바이오 부품에 대한 설계・합성・기술, 초고속 스크리닝 기술 등 
합성생물학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이를 지원할 합성생물학 특화연구소도 지정한다. 
이와 더불어, 바이오 파운드리 구축과 핵심기술 및 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바이오 제조의 자동화・고속화를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농식품・해양・에너지별 특화된 바이오파운드리와 
생산용 표준모델 균주 등도 확보할 계획.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