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대수명
의의)
생명표란,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특정 연령의 사람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추정한 통계표
이용 자료)
1. 사망자 수)
2023년 성‧연령별 전국 및 시도 사망자 수
2. 기준 인구)
2023년 성‧연령별 전국 및 시도 주민등록연앙인구
3. OECD 비교자료)
“Life expectancy” OECD Data Explorer,
2024. 11. data-explorer.oecd.org
2023년 연령별 사망확률을 따른다면,
남자의 기대수명은 80.6년,
여자는 86.4년으로
전년 대비 남자는 0.7년, 여자는 0.8년 증가함
2023년
60세 남자의 기대여명은 23.4년,
여자의 기대여명은 28.2년으로
전년 대비 남자는 0.7년, 여자는 0.8년 증가함
2023년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과 경기가 높고, 충북과 전남이 낮음
- 남자의 경우 서울(82.0년), 세종(81.3년) 순으로 높고,
전남(79.3년), 충북(79.4년) 순으로 낮음
- 여자의 경우 서울(88.0년), 제주(87.7년) 순으로 높고,
충북(85.4년), 울산(85.5년) 순으로 낮음
2023년
출생아가 향후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 63.6%, 여자 81.8%로
전년 대비 남자는 2.5%p, 여자는 1.6%p 증가
-2023년 출생아가 주요 사인으로 사망할 확률은
악성신생물(암) 19.1%,
폐렴과 심장 질환 10.0%, 뇌혈관 질환 6.9% 순
우리나라 남자의 기대수명(80.6년)은
OECD 평균(78.4년)보다 2.2년,
여자의 기대수명(86.4년)은
OECD 평균(83.6년)보다 2.8년 높음
-남자의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82.3년)로 우리나라보다 1.7년 높음
-여자의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87.1년)으로 우리나라보다 0.7년 높음
조세포탈범 명단 공개 (0) | 2024.12.14 |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2) | 2024.12.12 |
한화시스템 기뢰전 전투체계 체계 (0) | 2024.12.08 |
외국인 근로자 한국오기 쉬워진다 (0) | 2024.12.04 |
생태관광지역 신규 선정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