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부담 지속 증가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질병부담 지속 증가

한국 살아남기

by 키위수박 2024. 12. 31. 01:58

본문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23년 기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75,183명
-전체 사망의 78.1%를 차지
(’20년) 244,719명 → (’21년) 252,993명 
→ (’22년) 276,930명 → (’23년) 275,183명

23년 10대 사망원인 중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으로 
대부분 ’22년 대비 순위가 증가.

23년 10대 사망원인 순위: 
암, 심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고의적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 코로나19 순

<노인인구 증가및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 증가>
23년 기준, 
우리나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90조 원
-전체 진료비의 84.5%
(’20년) 71조 원 → (’21년) 78조 원(9.24%↑) 
→ (’22년) 83조 원(6.80%↑) → (’23년) 90조 원(9.19%↑)

 

진료비 중 
순환계통 질환으로 인한 비용이 13조 4천억 원으로 
만성질환별 진료비 전체의 14.9%를 차지, 
근골격계질환이 12.9%, 
악성신생물(암)이 11.2%로 진료비 비율이 높았다. 
만성질환 중 단일 질환으로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에 의한 진료비가 4.4조 원 가장 높았고, 
2형 당뇨병이 3.1조 원

19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20~22%, 
당뇨병 유병률은 10% 내외 유지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12년 11.9%에서 ‘22년 22.0%로 10년간 꾸준히 증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