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멸종위기종 초양도 상괭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대한 협약(CITES)에서
보호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해양보호생물(해양수산부 지정)로 법정보호를 받고 있는 종임
Neophocaena asiaeorientalis
국제분포)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일본, 발해만과 서해, 중국 연안을 따라 분포
국내분포) 서해, 남해, 동해에 모두 분포하고 있으며
서해에서는 수심이 낮기 때문에 비교적 먼 바다에서도 발견됨
(형태)
이빨고래류 쇠돌고래과에 속하고,
둥근머리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가 없음
(크기)
태어났을 때는 약 72~85cm,
성숙 시(수컷 성숙 4~6세, 암컷 3~5세) 최대 약 2m임
(색깔)
태어났을 때는 흑색이었다가 자라면서 회백색으로 변화됨
(출산 및 수명)
해양 포유류로 새끼를 낳으며 임신기간은 10개월 내외,
출산 성기는 4~6월로, 최대 수명은 약 25년으로 추정됨
(주요먹이)
멸치, 전어, 갈치, 새우, 오징어 등을 섭취하며
멸치어군 발견 시 무리를 이루어 먹이활동을 하기도 함
상괭이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쇠돌고래과의 포유동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돌고래는 입이 뾰족하고 등지느러미가 솟아 있는 반면,
상괭이는 입이 거의 튀어나오지 않고 둥글둥글하며 등지느러미가 없다.
초양도 부근의 상괭이는
봄철(4월) 및 가을철(9~10월) 대조기 (사리)때 간조시간에
출현이 빈번하였으며
초양대교를 기준으로 남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파악됨.
4월에는
출산직후 어린새끼가 어미와 함께 동행하는 모습을 다수 발견하여
이 지역이 새끼를 낳아 기르는 생육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에너지패권 중국 입장 (0) | 2025.05.02 |
---|---|
세계 최초 상온 양자역학 현상 발견 (0) | 2025.02.02 |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1) | 2025.01.16 |
신규 대출 중도상환수수료율 인하 (1) | 2025.01.13 |
남방방게 척사항등대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