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상온 양자역학 현상 발견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발견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등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네이처(Nature)」에
1월 30일(현지시간 1.29.(수) 16시, GMT) 게재
전자는
전기적인 성질인 전하와 자기적인 성질인 스핀(spin)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물질 내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현상인 전류는
전하가 이동하여 발생하는 전하 전류와
스핀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스핀 전류로 나누어진다.
-전자 스핀(스핀 각 운동량) : 전자의 자발적인 양자 각운동량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전하 전류로 작동한다.
하지만 전류가 흐를 때
전자가 물질 내부의 원자와 충돌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고,
이는 에너지 소모량 증가와 효율 저하로 이어진다는 문제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하 전류가 아닌 스핀 전류를 이용해
전자 소자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라고 한다.
스핀트로닉스 기술 구현의 핵심은
스핀 전류를 생성하는 것으로,
스핀 전류 생성의 여러 방법 중 하나는
스핀 펌핑(spin pumping)이다.
스핀 펌핑은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접합했을 때,
스핀이 세차운동에 의해 자성체에서
비자성체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고전역학으로 생성되는 스핀 전류는 크기가 작아
실제 전자 소자에는 활용이 제한되어왔다.
정명화 교수 연구팀은
고품질의 철(Fe)-로듐(Rh) 자성박막을 제작하는 데 성공,
김갑진 교수 연구팀과 함께 자성박막의 독특한 특성을 활용하여
큰 스핀 전류를 관측하였다.
이경진 교수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이론으로 해석하고
추가적인 실험으로 증명
대부분의 양자역학적 현상은
극저온에서만 관측되는 것과 달리,
이번 연구는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고,
기존 고전역학적 방식에 비해
10배 이상의 스핀 전류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어서
차세대 전자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1) | 2025.01.16 |
---|---|
신규 대출 중도상환수수료율 인하 (1) | 2025.01.13 |
남방방게 척사항등대 (0) | 2025.01.10 |
2025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월 228만 원 (0) | 2025.01.08 |
질병부담 지속 증가 (0) | 2024.12.31 |